[인디 아카이브]인디게임 창작자를 위한 게임 행사 전시 준비 체크리스트

2024-06-30


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?


게임 행사 전시가 처음이시거나, 혹은 아직 익숙하지 않으시다면?

아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보다 체계적으로 전시를 준비해보세요.



1. 전시 기획 (참여 신청 전 ~ 선정 직후)


1) 전체 비용 체크하기

  • 부스 참가비
  • 운영 인력 경비 : 인당 교통비, 숙박비, 식비 등
  • 물품 제작비 : 인테리어, 굿즈, 홍보용 출력물 등
  • 현장 소모품비 : 시연 기기, 물품 대여, 운영 물품 등

💡 행사에 따라 부스 참가비 및 숙박비를 지원해주는 경우가 있으며,

인디게임사의 경우 관련 공모전 및 지원 기관을 통해 참가비를 면제받을 수도 있습니다.

💡 시연 기기 및 테이블 등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물품의 범위를 확인해 보세요.


2) 전시 참여 목표 설정

  • 행사별 특징 파악 : 주요 참관객, 주요 전시 부스, 특화 부문 등
  • 참여 부문 확인 : B2C, B2B
  • 게임의 개발/출시 단계 파악
  • 전시 참여 목적 수립
  • 세부 목표 및 KPI 설정

💡 여러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지만, 꼭 달성하고 싶은 메인 목적 한 가지를 정해 두는 게 좋습니다.

  • 전시 참여 목적 예시
    • 유저 대상 인지도 확보
    • 게임 피드백을 통한 개선
    • 퍼블리셔, 투자자 확보
    • 창작자들과의 네트워킹
  • 세부 목표 및 KPI 예시
    • SNS 팔로워 OO명 확보
    • 상점 장바구니 / 찜하기 OO명 확보
    • B2B 미팅 OO건 진행
    • 행사 어워드 OO부문 수상


3) 부스 컨셉 결정

  • 유사 장르 게임의 전시 레퍼런스 확보
  • 부스에 활용 가능한 게임의 배경, 장소, 특징 파악
  • 부스 컨셉 구성

💡 게임 속 세상에 들어온 것 같은 느낌을 주면 참관객의 몰입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.

예시) 카페 경영 게임의 경우 → 게임 속 카페와 유사한 분위기로 부스를 구성


4) 시연용 빌드 구성

  • 피드백 목표 설정 : 초반 몰입감, 스토리 개연성, 타격감 등
  • 가장 효과적으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게임 속 파트 확인
  • 튜토리얼 제공 유무 결정
  • 전체 시연 가능 파트 결정

💡 온/오프라인이 동시에 진행되는 행사의 경우

일반적으로 온라인은 유저가 게임의 재미를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긴 분량을,
오프라인은 흥미 유발과 회전율을 위해 핵심만 담은 짧은 분량을 준비하는 게 좋습니다.


5) 이벤트 & 굿즈 구성

  • 부스 이벤트 종류 결정
  • 부스 이벤트 중복 참여 가능 여부 결정
  • 증정용 경품 및 굿즈 종류 결정
  • 굿즈 판매 여부 및 종류 결정

💡 인디게임 창작자가 주로 진행하는 이벤트와 굿즈 종류

  • 부스 이벤트 예시

    • 단순 방문
    • 게임 시연
    • SNS 팔로우 인증
    • 상점 페이지 찜하기 인증
    • 행사와 연계된 투표 이벤트 참여 인증
    • 퀴즈 참여
  • 굿즈 예시

    • 단순 출력물엽서, 포토카드, 포토카드, 스티커 등
      생활용품볼펜, 안경닦이, 마우스패드, 키캡 등
      액세서리핀뱃지, 금속뱃지, 키링 등
      패브릭의류, 스트레스볼, 쿠션, 인형 등
      장식품아크릴 스탠드, 피규어 등
      수납
      쇼핑백, 부직포 가방 등



2. 운영 준비 (최소 전시 1개월 전 ~)


1) 디자인이 필요한 출력물 준비

  • 활용 가능/추가 제작이 필요한 아트 리소스 파악 및 준비
  • 부스 인테리어 물품 디자인 및 제작 : 백월, 등신대, 포스터 등
  • 홍보/안내용 물품 디자인 및 제작 : 이벤트/시연 안내판, 브로슈어, 명함 등
  • 굿즈 디자인 및 제작

💡 인테리어용 등신대와 포스터는 향후 다른 행사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
💡 홍보용 출력물을 제작할 때는 관련 이미지와 홍보할 페이지의 QR코드를 활용하면 좋습니다.


2) 현장 물품 준비

  • 기본 제공 물품 및 추가 신청 가능 물품, 개인 준비 필요 물품 확인
  • 시연용 기기 준비 : PC/노트북, 마우스, 헤드셋, 마우스패드 등
  • 홍보 물품 준비 : 아크릴 POP, TV 등
  • 운영 물품 준비 : 멀티탭, 의자, 테이블, 문구류(펜, 가위, 테이프), 물티슈 등
  • 인테리어 소품 준비 : 네트망, 가랜드, 조명 등


3) 게임 시연 준비

  • 시연용 빌드 버그 확인
  • 유저 피드백 및 의견 수렴 시트 준비

💡 게임의 자세한 피드백을 받는 것이 주요 전시 목적이라면

간단한 설문조사, 또는 현장에서 시연 유저에게 질문할 목록을 준비하는 것도 좋습니다.


4) 운영 인력 준비

  • 운영 인력 확정
  • 부스 상주 인원 및 교대 스케줄 결정
  • 팀원별 게임 소개 멘트 일관화
  • 참관객 응대 톤앤매너 일관화

💡 참관객이 언제 방문하더라도 게임의 매력을 느낄 수 있도록 동일한 응대 방식을 숙지해야 합니다.

2명 이상의 팀원이 부스에 상주하는 경우에는 각자의 역할을 정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.


5) B2B 미팅 & 네트워킹 준비

  • B2B 참여 기업 조사
  • 네트워킹 행사 개최 여부 확인 및 신청
  • 게임 소개서, 사업 계획서, 명함 등 준비

💡 행사에 따라 B2B 미팅이 사전 신청의 형태로 운영되는 경우도 있습니다.


6) 참관객 동선 체크

  • 예상 체류 시간 확인
  • 인테리어 소품 노출 여부 시뮬레이션
  • 이벤트, 게임 시연, 굿즈 판매 위치 계획
  • 대기 및 퇴장 동선 계획

💡 2개 이상의 참여 이벤트를 준비할 경우, 실제 참관객의 동선을 예상하여 물품을 배치해야 합니다.



3. 현장 준비하기 (전시 1일 전 ~)


1) 부스 설치

  • 현장 네트워크 및 빌드 테스트
  • 인테리어 물품 배치
  • 이벤트 및 홍보 물품 배치


2) 계획 점검

  • 참관객 동선 최종 확인 : 입장 후 부스 도달, 부스 이용 등
  • 교대 인원 식사 및 휴식 장소 확인



4. 스토브인디와 함께하기 😉


스토브인디는 게임 행사마다 창작자분들을 위한 다양한 이벤트와 상담을 운영하고 있습니다.

개발부터 출시까지의 긴 여정에서 상담받고 싶은 이야기가 있다면 행사장에서 스토브인디를 찾아주세요.



5. 다른 창작자의 사례 확인하기